스냅사진02.jpg
정 영 진 / JEONG YOUNG JIN

내가 표현하고 싶은 것은 형상의 재현이 아니며, 그렇다고 생각과 사상의 표현도 아니다. 감정의 시각화 그 자체다. 강렬한 색채와 형태의 왜곡, 그리고 시공간을 초월한 구성을 통해 감정의 깊이를 표현하고, 감상자가 작품을 통해 나의 감정을 마주하면서도 자신의 기억과 연결되는 순간을 기대한다.
내가 꿈꾸는 예술은 특정한 공간에 머무르지 않고, 산업과 도시, 그리고 사람들의 삶 속에서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함께 공존하는 환경을 만드는 것. 그리고 그 과정 속에서 나 또한 계속해서 변화하고 성장하는 것이다.
예술은 멈춰 있는 대상이 아니라, 끊임없이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유기적으로 변화하는 존재다. 
내가 그리는 것은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그 순간의 감정과 기억이 만들어내는 흐름이다. 그리고 그 흐름 속에서, 오늘 나의 감정을 더 깊이 이해하고, 내일의 새로운 감정의 변화를 기대한다.

What I seek to express is not the representation of form, nor is it merely the articulation of thoughts or ideology.It is the visualization of emotion itself.Through intense colors, distorted forms, and compositions that transcend time and space,I aim to convey the depth of emotion—inviting the viewer to confront not only my feelings,but to connect them with their own memories in that shared moment.
The art I envision does not remain confined to a specific space.It seeps naturally into industry, cities, and the everyday lives of people—coexisting, adapting, and breathing alongside them.In that ongoing process, I too continue to change and grow.
Art is not a static object.It is an organic presence that evolves continuously within the flow of time.What I create is not simply a picture,but a stream shaped by the emotions and memories of a moment.And within that stream, I seek to understand today’s feelings more deeply—while anticipating the emotional transformations that tomorrow will bring.
작 가 이 력

학력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예술학박사 과정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예술학석사 졸업
주요직책
울산디자인연구소 대표
삼영화학 대표
갤러리 크로크리아 대표
전문활동 및 소속
울산공공디자인협회 회장
울산문화예술인모임 회장
사단법인 한국기초조형학회 정회원
사단법인 한국공간디자인협회 정회원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 정회원
사단법인 한국창조미술협회 정회원
경상일보 독자권익위원회 (20기,21기)
경상일보 CEO 칼럼리스트
울산매일 오피니언

Education
Ph.D. in Art Studies (in progress),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M.A. in Art Studies,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Positions
Director, Ulsan Design Institute
CEO, Samyoung Chemical Co., Ltd.
Director, Gallery Crocrea
Professional Affiliations
President, Ulsan Association for Public Design
President, Ulsan Cultural & Artistic Society
Regular Member,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KSBDA)
Regular Member, Korea Society of Spatial Design
Regular Member, Korea Fine Arts Association
Regular Member, Korea Creative Art Association
Activities
Member, Readers' Rights Committee, Kyongnam Daily (20th & 21st term)
Columnist, CEO Column, Kyongnam Daily
Opinion Contributor, Ulsan Maeil
전 시 이 력

2025.06. UiAF 울산국제아트페어 2025 /UECO
2025.02. 삿포로시립박물관 초청 개인전 / 삿포로시립박물관
2025.02. 중국 청도 국제초대작품전 2025
2024.11. 제44회 울산미술협회 가을미술제
2024.11. 한국기초조형학회 추계 국제초대작품전
2024.08. 제40회 남부국제미술제
2025. 06.  UiAF 울산국제아트페어 2024 /UECO
2024.04. 존재의 영속 / 더정6th 개인전
2024.03. 한국미술협회 2024신진작가전 /울산문화예술회관
2024.02. 삿포로시립박물관 초청 개인전 / 삿포로시립박물관
2023.12. 커피의 또 다른 향기 / 더정5th 개인전
2023. 10.  UiAF 울산국제아트페어 2023 /UECO
2023.09. 인생작전 / 울산 문화·예술인모임 4인전 
2023.05. 한국현대미술 일본교토아트페스티벌 /교토왕예제미술관
2023.05. 울산문화예술인 매거진 '그, 숲'  창간
2022.11. UCAA 울산 문화·예술인모임 2022 정기회원전
2022.09. 사진전 1st 'Wheel Life in Vietnam' 
2022.07. 커피의 또 다른 향기 / 더정4th 개인전
2022.07. 갤러리 'Cnoc Liath' 개관전
2019.04. 커피의 또 다른 향기 / 더정3th 개인전
2015.03. 봄내음이 나는 창 / 더정2th 개인전
2013.09. 당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색 / 더정1th 개인전
2008.06. 앨리스의 가구나라 / 이&정 2인기획전
2005.03. 신진작가 초대전 / 서울미술협회 단체전

Exhibition History
​​2025.06. UiAF 2025 Ulsan International Art Fair /UECO 
2025.02. Invited solo exhibition at Sapporo City Exhibition Hall
2025.02. Cheongdo International Invited Works Exhibition 2025
2024.11. 44th Ulsan Art Association Fall Art Festival
2024.11. Korea Basic Design Society Fall International Invited Works Exhibition
2024.08. 40th Southern International Art Festival
2024.04. The Permanence of Existence / theZeong 6th solo exhibition
2024.03. Korean Art Association 2024 New Artist Exhibition / Ulsan Culture and Arts Center
2024.02. Solo exhibition invited to Sapporo City Museum, Japan / Sapporo City Museum
2023.12. Another scent of coffee / theZeong 5th solo exhibition
2023.09. Life Strategy / Ulsan Culture and Artists’ Group 4-person exhibition
2023.05. 2023 Korean Contemporary Art Kyoto Art Festival, Japan
2023.05. Establishment of 'The Forest of Art' magazine
2022.11. UCAA regular membership exhibition
2022.09. Photo exhibition 'Wheel Life in Vietnam' / 1st solo photo exhibition
2022.07. Another scents of coffee / theZeong 4th solo Exhibition
2022.07. Gallery 'Cnoc Liath' opened
2019.04. Another scents of coffee / theZeong 3rd solo Exhibition
2015.03. Window with the scent of spring / theZeong 2nd solo Exhibition
2013.09. The colors that make up your Thoughts / theZeong 1st solo Exhibition
2008.06. Alice's furniture country / exhibition by Rhee&Zeong
2005.03. Invitational exhibition of young artists / SPA Exhibition
수 상 내 역

2023 제43회 한국미술협회 대구미술대전
2023 제22회 한마음 미술대전
2023 제27회 한국미술협회 울산미술대전
2022 제9회 한국창조예술협회 미술대전
2022 제26회 한국미술협회 울산미술대전

Award History
2023  the 43th Korean Art Association Daegu Art Competition
2023  the 22th Hanmaeum Art Contest Award
2023  the 27th Korean Art Association Ulsan Art Competition
2022  the 9th  Korea Creative Arts Association Art Competition
2022  the 26th Korean Art Association Ulsan Art Competition

Digital Artwork
Portraits of Coexistence
共存の肖像
공존의 초상
야성의_초상.png
야성의 초상
/Portrait of Wildness 
Digital Art, 2024.08.  /삿포로 시립전시관 초청 개인전 대표작

인간과 자연, 이성과 본능이 조화를 이루는 순간을 담은 초상화
여인의 얼굴과 호랑이의 형상이 하나로 융합되며, 이는 내면 깊숙이 자리한 야성적인 본능과 자연과의 연결을 상징한다. 눈빛 속에서 느껴지는 강렬한 에너지는 잠재된 힘과 자유를 향한 갈망, 그리고 자연이 부여한 본능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한 작품

A portrait capturing the moment when humanity and nature, reason and instinct, come into harmony. The seamless fusion of a woman’s face with the form of a tiger symbolizes the deep connection to nature and the wild instincts that dwell within. The intense energy in her gaze evokes a sense of latent power, a yearning for freedom, and the instinctive beauty granted by nature itself.


20250227_1210_Eyes_of_Duality_simple_compose_01jn2p4s5vfa6t1kq0hyjdpshf.gif
야성의 초상 Motion Digital Art
/Portrait of Wildness 
Digital Art, 2024.08.  

이 작품은 모션 기반 디지털 기법을 통해 《야성의 초상》을 살아 있는 이미지로 재구성한 작업, 본능과 정체성, 리듬이 어우러진 이 감성적인 움직임은, 정적인 이미지 속에 숨겨진 감정과 에너지를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This work animates Portrait of Wildness using motion-based digital techniques,
creating a vivid interplay of movement and emotion within the original image. 
빛과_어둠의_균형.png
빛과 어둠의 균형
/The Balance of Light and Darkness
Digital Art, 2024.09. 

자연과 인간, 빛과 어둠, 생명과 소멸이 공존하는 공간을 표현
바위처럼 거칠고 어두운 얼굴과, 하늘과 구름이 어우러진 부드럽고 평온한 얼굴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빛과 어둠의 이중적인 존재와 균형의 의미를 담고있다.

A space where nature and humanity, light and darkness, life and death coexist.
A face that merges a rough, shadowed side like stone with a soft, tranquil side formed by sky and clouds,symbolizing the duality of existence and the delicate balance between opposing forces.
wanijjang_11456_Combine_these_images_smooth_blend_surreal_art_s_1b7005bd-7893-487f-b74c-a1f9c92bad22.png
천공의 속삭임 
/Whispers of the Heavens
Digital Art, 2024.10. 

자연과 인간, 하늘과 대지, 꿈과 현실이 융합된 초현실적인 이미지를 표현, 얼굴이 산과 구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눈을 감은 채 평온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새들은 자유로운 정신과 끝없는 상상을 상징

A surreal image where nature and humanity, sky and earth, dream and reality converge. The face, composed of mountains and clouds, exudes a serene atmosphere with closed eyes. Birds soaring freely through the scene symbolize a liberated spirit and boundless imagination..
혼(魂)의-숲(The-Forest-of-Souls)_1024.png
혼(魂)의 숲
/The Forest of Souls
Digital Art, 2025.03. /2025 울산국제아트페어 초청작

자연과 인간, 이성과 본능이 조화롭게 얽힌 내면의 숲.
여인의 얼굴과 여우의 형상이 하나로 융합된 이 작품은, 
인간 내면 깊숙이 자리한 야성적 본능과 정체성의 교차를 상징한다. 
빛과 그림자가 드리운 숲속의 시선은 감각과 감정을 깨우며, 자연과 혼이 맞닿는 경계에서 탄생한 본연의 아름다움을 포착한 작품

An inner forest where nature and humanity, reason and instinct, are intricately intertwined. This artwork, blending the face of a woman with the form of a fox, symbolizes the intersection of primal instinct and identity rooted deep within the human psyche. Eyes gazing through a forest veiled in light and shadow awaken the senses and emotions, capturing the pure beauty born at the threshold where nature meets the soul.
야성(野性)의-이면(裏面)_1024.png
야성(野性)의 이면(裏面)
/The Hidden Face of Wildness
Digital Art, 2025.06. 

이성과 본능, 문명과 자연이 공존하는 존재의 경계.
늑대의 형상과 인간의 얼굴이 절묘하게 융합된 이 초상은, 우리 내면에 잠재된 원초적 본성과 자아의 복합적 구조를 시각화한다.
차가운 시선 속에 깃든 침묵은 야성의 본질이자, 억눌린 자아의 울림이며,보이는 절반 너머, 감춰진 나를 마주하는 철학적 사유의 공간을 제시한다.

A portrait standing at the boundary where reason and instinct, civilization and nature coexist. The seamless fusion of a wolf’s form and a human face visualizes the primal instinct and the layered structure of the self that lie dormant within us.
The silence within the cold gaze speaks to the essence of wildness and the echo of a suppressed identity. Beyond the visible half, the work invites viewers into a space of philosophical contemplation, a confrontation with the hidden self.
조용한-위엄(威嚴)_1024.png
조용한 위엄(威嚴)
/The Silent Dignity
Digital Art, 2025.06. 

‘초상’ 시리즈 중 하나로, 말없이 존재하는 자가 지닌 내면의 위엄을 섬세하게 포착한다. 사자의 형상과 부드럽게 겹쳐진 인간의 얼굴은 강인함을 소리 없이 드러내며, 침묵 속에서 흐르는 긴장과 존엄으로 깊은 인상을 남긴다. 그 위엄은 드러내려 하지 않아도 저절로 전해지며, 존재 자체만으로도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인간의 본질을 비유적으로 담아낸다. 이는 우리가 잊고 있던 고요한 품격의 가치를 다시 바라보게 만든다.


This work, part of the “Portrait” series, delicately captures the silent dignity of a presence that does not seek to be seen, yet cannot be ignored. The gentle fusion of a lion’s form with the human face evokes a strength that resides in stillness—an unspoken tension, a quiet majesty. Without asserting itself, it radiates weight and depth, embodying a state of being that is in harmony with nature. Through this metaphor of poised coexistence, the piece invites us to rediscover the power of restraint, and the timeless value of calm authority.
여우꽃(狐花).png
여우꽃(狐花)
/Fox Blossom
Digital Art, 2025.06. 

자연의 교묘한 위장처럼, 인간의 얼굴과 여우의 형상이 꽃의 결 속에 녹아든다. 붉은 꽃잎은 본능과 욕망의 상징이며, 맑은 눈빛 뒤로 숨겨진 경계의 긴장감을 부드럽게 감싼다.
이 작품은 생명과 유혹, 순수함과 야성의 공존을 한 얼굴 안에 응축시켜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여우꽃이 피어나는 순간, 본능이 피어나는 순간이다.

Like nature’s own disguise, the face of a woman and a fox blends seamlessly within blooming red petals. The blossoms, symbols of instinct and desire, veil the tension that lingers behind her lucid gaze. This work encapsulates the coexistence of life and seduction, purity and wildness, all within a single visage.
"Fox Blossom" gently poses a profound question — what does true beauty conceal? It is in the moment of blooming that instinct awakens.
기억과_미래의_경계에서.png
기억과 미래의 경계에서
/at the boundary between memory and the future
Digital Art, 2024.12. 

도시와 자연, 과거와 미래, 현실과 상상의 경계에서 자유를 꿈꾸는 순간을 표현, 인물의 실루엣이 도시와 숲 사이에서 녹아들고, 황금빛 날개는 그녀의 내면적 자유와 꿈을 상징을 나타낸다.

A moment of dreaming for freedom at the boundary between city and nature, past and future, reality and imagination.
The silhouette of the figure melts between the urban skyline and the forest, while golden wings symbolize her inner freedom and the aspirations of her soul.
wanijjang_11456_Combine_these_images_smooth_blend_surreal_art_s_ea8c2439-3a88-4640-a67c-070320a97c14.png
대지의 메아리
/Echoes of the Earth
Digital Art, 2024.10. 

인물의 실루엣 안에 펼쳐진 자연의 층위는, 대지와 하나 된 존재의 깊이를 상징한다. 구름, 바위, 나무가 차곡차곡 쌓인 얼굴은 기억과 감정, 존재의 흔적을 품고 있다.
이 작품은 인간의 내면에 울려 퍼지는 자연의 메아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우리가 잊고 살아가는 근원적 연결성과 정체성을 되새기게 한다.

Within the silhouette of a human figure, layered landscapes of rock, trees, and clouds unfold symbolizing the depth of a being in harmony with the earth.
The face becomes a canvas of memory, emotion, and trace.
This work gives visual form to the echoes of nature resonating within us, calling us back to the primal connection and identity we so often forget.

바람이_새긴_초상.png
바람이 새긴 초상
/A Portrait Etched by the Wind
Digital Art, 2024.10. 

바람처럼 스쳐간 감정의 흔적들이 얼굴에 스며들듯, 자연과 인간의 이미지가 겹겹이 포개진 이 작품은 내면에 스며든 계절의 기억과 감정의 풍경을 담고 있다.
숲의 선과 빛, 흔들리는 나뭇잎들은 바람처럼 무언가를 지나가며 한 사람의 초상을 조용히 새긴다.

Like traces of emotion carried by the wind, this layered portrait merges nature and the human face, capturing inner landscapes shaped by seasons and memory.
The lines of the forest, the shifting light, and trembling leaves gently etch a quiet portrait—just as the wind leaves its mark
몽환의정원.jpg
몽환의 정원
/The Ethereal Garden
Digital Art, 2024.08. /2025 청도 국제초대작품전 초대작

현실과 환상이 교차하는 경계에 피어난 정원, 꽃과 색채, 인물의 형상이 어우러지며 꿈속을 걷는 듯한 몽환적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 정원은 기억과 상상이 자라나는 내면의 공간이자, 감정의 흐름이 조용히 피어나는 시각적 은유다.

A garden blooming on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dream.
Blending flowers, colors, and the human form, the scene evokes a surreal atmosphere—as if walking through a dream.
This garden is an inner realm where memory and imagination grow, a visual metaphor for quietly blooming emotions.
소멸과_탄생의_순간.png
소멸과 탄생의 순간
/the moment of extinction and birth
Digital Art, 2024.08. 

자연과 인간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찰나, 하나의 얼굴이 사라지며 또 다른 존재가 피어난다. 이 작품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소멸과 탄생이 공존하는 신비로운 순간을 시각적으로 담아낸다. 

In the fleeting moment where the boundary between nature and humanity dissolves, one face fades as another emerges. This piece captures the mystical coexistence of disappearance and birth within the flow of time.

시간의_잔상,_피어나는_영혼.png
시간의 잔상, 피어나는 영혼
/Traces of Time, Blossoming Soul
Digital Art, 2024.07. 

기억의 파편이 겹겹이 쌓여 피어나는 얼굴, 시간 속에 흐려진 감정과 존재가 꽃으로 환생하며 새로운 자아를 형성한다. 
이 작품은 잊힌 기억의 층위를 통과해 피어나는 내면의 생명을 시각화한다.

Fragments of memory layer into a blooming face. Emotions and identities faded by time reincarnate as flowers, forming a new self. This piece visualizes the inner life emerging through the strata of forgotten recollections.
상처의꽃.png
상처의 꽃
/Blossom of Pain
Digital Art, 2024.010. 

고요한 얼굴 위로 피어난 붉은 꽃은 고통의 흔적이자 존재의 증명이다. 균열과 상흔 속에서도 피어나는 아름다움은, 인간 내면의 회복력과 감정의 깊이를 상징한다. 이 작품은 상처를 통해 피어나는 생의 서사를 담고 있다.

A crimson flower blooming over a silent face marks both the trace of pain and the proof of existence. Beauty that emerges through cracks and scars symbolizes the resilience of the human spirit and the depth of emotion. This piece captures the narrative of life blooming through wounds.
어둠에_사라지는_숨결.png
어둠에 사라지는 숨결
/The Vanishing Breath in the Dark
Digital Art, 2024.012. 

개인의 내면과 도시 풍경이 하나로 겹쳐지며, 어둠 속으로 사라져 가는 감정과 기억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담아낸 작품이다. 푸른빛과 붉은빛의 대비 속에서 한쪽 얼굴은 현실을 응시하고, 다른 한쪽은 도시의 불빛 속으로 녹아든다.이 작품은 인간 존재의 흔적, 정체성, 그리고 그 미묘한 소멸의 순간을 숨결처럼 표현한다.

Blending the inner self with an urban skyline, this digital artwork visualizes the emotional and mnemonic drift into darkness. Contrasting hues of blue and red divide the face—one part rooted in reality, the other dissolving into the city's nocturnal lights.It captures the fleeting trace of identity, like a breath fading within the shadows of light.
도시가_남긴_흔적.png
도시의 잔상
/Afterimage of the City
Digital Art, 2024.012. 

도시는 밤이 깊어질수록 더 찬란하게 빛나지만, 그 속에 머무는 개인의 감정과 기억은 점점 희미해진다.이 작품은 도시의 불빛 아래 변화해가는 인간의 내면과, 시간이 지날수록 남겨지는 감정의 흔적을 불꽃과 조명으로 형상화하였다.잊혀지는 존재의 실루엣은 우리 모두가 도시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남기는 ‘잔상’이다.

As night deepens, the city glows more intensely, yet within it, personal emotions and memories gradually fade.This digital piece captures the transformation of the self under the city's lights, visualizing the fleeting emotions and traces left behind.The silhouette of a vanishing presence becomes the afterimage we all leave in the ever-flowing rhythm of urban life.
Painting Artwork
The Permanence of Existence
​존재의 영속
존재의영속_240707b.jpg
존재의 영속: 생(生)의 잔영(殘影), 셋
/The Permanence of Existence: Echoes of Life
acrylic & other on canvas, 2024.04. / 41x53 cm
2024 남부국제미술제 초대작

금이라는 변하지 않는 물질을 통해, 일상이 끊임없이 변해도 인간 존재의 본질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표면의 질감과 금속의 깊이를 통해 시간의 흐름과 감정의 흔적을 표현하였고, 생의 잔영은 조용하지만 오래도록 남아 빛나는 가치를 상징한다.

Using gold as a symbol of permanence, this work conveys the message that even in the ever-changing flow of daily life,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endures.The textured surface and metallic depth reflect the passage of time and emotional traces, while the afterimage of life represents a quiet yet lasting and radiant value.
존재의영속_생의잔영_넷_240707C.jpg
존재의 영속: 생(生)의 잔영(殘影), 넷
/The Permanence of Existence: Echoes of Life
acrylic & other on canvas, 2024.04. / 41x53 cm
2024 남부국제미술제 초대작

금이라는 변하지 않는 물질을 통해, 일상이 끊임없이 변해도 인간 존재의 본질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표면의 질감과 금속의 깊이를 통해 시간의 흐름과 감정의 흔적을 표현하였고, 생의 잔영은 조용하지만 오래도록 남아 빛나는 가치를 상징한다.

Using gold as a symbol of permanence, this work conveys the message that even in the ever-changing flow of daily life,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endures.The textured surface and metallic depth reflect the passage of time and emotional traces, while the afterimage of life represents a quiet yet lasting and radiant value.

존재의영속_생의잔영02-240410b_800x1130.jpg
존재의 영속: 생(生)의 잔영(殘影), 둘
/The Permanence of Existence: Echoes of Life
acrylic & other on canvas, 2024.04. / 65x90 cm

금이라는 변하지 않는 물질을 통해, 일상이 끊임없이 변해도 인간 존재의 본질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표면의 질감과 금속의 깊이를 통해 시간의 흐름과 감정의 흔적을 표현하였고, 생의 잔영은 조용하지만 오래도록 남아 빛나는 가치를 상징한다.

Using gold as a symbol of permanence, this work conveys the message that even in the ever-changing flow of daily life,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endures.The textured surface and metallic depth reflect the passage of time and emotional traces, while the afterimage of life represents a quiet yet lasting and radiant value.
존재의영속_생의잔영01-240410a_800x1130.jpg
존재의 영속: 생(生)의 잔영(殘影), 하나
/The Permanence of Existence: Echoes of Life
acrylic & other on canvas, 2024.04. / 65x90 cm

금이라는 변하지 않는 물질을 통해, 일상이 끊임없이 변해도 인간 존재의 본질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표면의 질감과 금속의 깊이를 통해 시간의 흐름과 감정의 흔적을 표현하였고, 생의 잔영은 조용하지만 오래도록 남아 빛나는 가치를 상징한다.

Using gold as a symbol of permanence, this work conveys the message that even in the ever-changing flow of daily life,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endures.The textured surface and metallic depth reflect the passage of time and emotional traces, while the afterimage of life represents a quiet yet lasting and radiant value.
존재의영속-240202c_1234x900.jpg
존재의 영속: 영원한 존재의 꿈
/The Permanence of Existence: Ocean.Island.Sunset
acrylic & other on canvas, 2024.01. / 91x117 cm

금이라는 변하지 않는 물질을 통해, 일상이 끊임없이 변해도 인간 존재의 본질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표면의 질감과 금속의 깊이를 통해 시간의 흐름과 감정의 흔적을 표현하였고, 생의 잔영은 조용하지만 오래도록 남아 빛나는 가치를 상징한다.

Using gold as a symbol of permanence, this work conveys the message that even in the ever-changing flow of daily life,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endures.The textured surface and metallic depth reflect the passage of time and emotional traces, while the afterimage of life represents a quiet yet lasting and radiant value.
존재의영속-240203f_753x900.jpg
존재의 영속: 비오는날의 창넘어
acrylic & other on canvas, 2024.01. / 91x117 cm

금이라는 변하지 않는 물질을 통해, 일상이 끊임없이 변해도 인간 존재의 본질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표면의 질감과 금속의 깊이를 통해 시간의 흐름과 감정의 흔적을 표현하였고, 생의 잔영은 조용하지만 오래도록 남아 빛나는 가치를 상징한다.

Using gold as a symbol of permanence, this work conveys the message that even in the ever-changing flow of daily life,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endures.The textured surface and metallic depth reflect the passage of time and emotional traces, while the afterimage of life represents a quiet yet lasting and radiant value.
존재의영속-240201h_653x900.jpg
존재의 영속: 황금빛 노을의 섬 ,넷
acrylic & other on canvas, 2024.01. / 91x117 cm

"시간을 초월한 존재의 영원한 본질에 대한 탐구의 시각화"
황금빛으로 물든 노을과 섬의 고요한 풍경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이 작품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자연의 본질과 아름다움을 탐구한다.중앙을 가로지르는 텍스처는 섬과 바다, 하늘이 만나는 경계를 상징하며, 자연의 조화와 내면의 평온을 느끼게 한다.황금빛 색채는 찰나의 순간과 영원한 가치를 함께 담아내며, 일상의 틀을 넘는 깊은 존재감을 전한다.

This abstract piece portrays a golden sunset and the serene landscape of an island, exploring the unchanging essence and beauty of nature through the passage of time.The central texture symbolizes the meeting point of island, sea, and sky, evoking harmony in nature and inner tranquility.Its golden hues capture both fleeting moments and eternal value, delivering a profound sense of presence that transcends everyday life.
황금빛노을의섬_셋_w800.jpg
존재의 영속: 황금빛 노을의 섬 ,셋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2.04. / 60x73 cm

"시간을 초월한 존재의 영원한 본질에 대한 탐구의 시각화"
황금빛으로 물든 노을과 섬의 고요한 풍경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이 작품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자연의 본질과 아름다움을 탐구한다.중앙을 가로지르는 텍스처는 섬과 바다, 하늘이 만나는 경계를 상징하며, 자연의 조화와 내면의 평온을 느끼게 한다.황금빛 색채는 찰나의 순간과 영원한 가치를 함께 담아내며, 일상의 틀을 넘는 깊은 존재감을 전한다.

This abstract piece portrays a golden sunset and the serene landscape of an island, exploring the unchanging essence and beauty of nature through the passage of time.The central texture symbolizes the meeting point of island, sea, and sky, evoking harmony in nature and inner tranquility.Its golden hues capture both fleeting moments and eternal value, delivering a profound sense of presence that transcends everyday life.
황금빛노을의섬_둘_w800.jpg
존재의 영속: 황금빛 노을의 섬 ,둘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1.10. / 60x73 cm

"시간을 초월한 존재의 영원한 본질에 대한 탐구의 시각화"
황금빛으로 물든 노을과 섬의 고요한 풍경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이 작품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자연의 본질과 아름다움을 탐구한다.중앙을 가로지르는 텍스처는 섬과 바다, 하늘이 만나는 경계를 상징하며, 자연의 조화와 내면의 평온을 느끼게 한다.황금빛 색채는 찰나의 순간과 영원한 가치를 함께 담아내며, 일상의 틀을 넘는 깊은 존재감을 전한다.

This abstract piece portrays a golden sunset and the serene landscape of an island, exploring the unchanging essence and beauty of nature through the passage of time.The central texture symbolizes the meeting point of island, sea, and sky, evoking harmony in nature and inner tranquility.Its golden hues capture both fleeting moments and eternal value, delivering a profound sense of presence that transcends everyday life.
2021_0921_a001_w800.jpg
존재의 영속: 황금빛 노을의 섬 ,하나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1.09. / 60x73 cm

"시간을 초월한 존재의 영원한 본질에 대한 탐구의 시각화"
황금빛으로 물든 노을과 섬의 고요한 풍경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이 작품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자연의 본질과 아름다움을 탐구한다.중앙을 가로지르는 텍스처는 섬과 바다, 하늘이 만나는 경계를 상징하며, 자연의 조화와 내면의 평온을 느끼게 한다.황금빛 색채는 찰나의 순간과 영원한 가치를 함께 담아내며, 일상의 틀을 넘는 깊은 존재감을 전한다.

This abstract piece portrays a golden sunset and the serene landscape of an island, exploring the unchanging essence and beauty of nature through the passage of time.The central texture symbolizes the meeting point of island, sea, and sky, evoking harmony in nature and inner tranquility.Its golden hues capture both fleeting moments and eternal value, delivering a profound sense of presence that transcends everyday life.
Painting Artwork
Another Scents of Coffee
커피의 또다른 향기
The-Ethereal-View_w800.jpg
천상의 시선: 평온을 바라보다
/The Ethereal View: A View into Serenity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3.04. / 91x117 cm

하늘에서 내려다본 풍경을 추상적으로 묘사하며, 자연의 조화와 평온함을 담아내고 있다. 푸른 강줄기는 삶의 흐름과 연결성을 상징하고, 주변의 녹색과 흰색의 조화는 자연의 생명력과 깨끗한 평화의 이미지를 전달한다. 커피와 아크릴을 사용한 질감과 색감은 땅과 하늘의 경계를 흐리며, 관람자에게 천상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고요한 순간을 경험하게 한다. 
작품은 자연과 존재의 조화 속에서 진정한 평온을 찾는 여정을 제시

This abstract interpretation of a landscape viewed from above captures the harmony and tranquility of nature.
The blue river symbolizes the flow of life and the interconnectedness of all things, while the interplay of green and white reflects vitality and pure peace.
The texture and tones created with coffee and acrylic blur the boundary between earth and sky, inviting viewers to experience a serene moment from a celestial perspective.
Ultimately, the piece presents a journey toward discovering true peace through the harmony of nature and existence.
나비의-별자리를-꿈꾸며.jpg
나비의 별자리를 꿈꾸며 
​/Dreaming the Celestial Dance of Butterflies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3.04. / 80x117 cm

우주의 신비와 나비의 섬세한 아름다움을 결합하여 꿈처럼 몽환적인 분위기를 담고 있다. 어두운 배경에 반짝이는 텍스처와 강렬한 색감은 별이 빛나는 밤하늘과 우주를 연상시키며, 그 위에 나타난 나비의 형상은 자유로움과 변화의 상징으로 표현된다. 아크릴과 커피를 활용한 독특한 질감은 자연과 초월적인 세계의 조화를 전달하며, 관람자에게 꿈과 현실, 그리고 우주의 경계에서 펼쳐지는 환상적인 무대를 상상하게 만든다. 작품은 우리 내면의 무한한 가능성과 아름다움을 탐구하도록 초대한다.

Blending the mysteries of the universe with the delicate beauty of a butterfly, this piece evokes a dreamlike, ethereal atmosphere.
The shimmering textures and vivid colors against a dark backdrop recall a starlit night sky and the vast cosmos, where the butterfly emerges as a symbol of freedom and transformation.
With unique textures created using acrylic and coffee, the work dissolves the boundary between nature and the transcendent, inviting viewers to imagine a fantastical stage where dream, reality, and the universe intertwine.
It offers a journey into the infinite potential and beauty that lie within.
고요한여정.jpg
고요한 여정 /Whispers of Serenity: A Quiet Journey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3.04. / 91x117 cm

작품은 고요하고 잔잔한 여정을 상징하며, 단순하지만 깊은 울림을 담고 있다. 어두운 프레임은 마치 지난 내 인생을 들여다보는 창과 같으며, 중심부의 부드러운 흰색은 멀리서 보면 평온해 보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표현된 텍스처는 지난 인생의 굴곡과 사건들을 담아내고 있다. 
아크릴과 커피로 만들어진 세밀한 질감은 시간의 흐름과 인생의 여정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며, 작품 전반에 흐르는 절제된 미학은 관람자에게 삶의 여정 속에서 느끼는 고요함과 회상의 순간을 제공한다. 이 작품은 우리의 과거와 현재를 돌아보며 평온을 찾는 과정을 깊이 탐구하게 한다.

Symbolizing a calm and reflective life journey, this piece resonates through its simplicity and quiet depth.The dark frame serves as a window into the past, while the soft white center appears peaceful from afar, yet reveals detailed textures that embody the trials and moments of a lived life.Rendered in acrylic and coffee, the fine textures evoke the passage of time and the marks of experience. The restrained aesthetic throughout invites the viewer into a meditative moment of introspection.This work explores the search for peace as we look back on our past and present.

열정,그-꿈을향한도전.jpg
열정의 불꽃 /Passion's Embers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2.04. / 91x117 cm

이 작품은 생동감 넘치는 색채와 강렬한 텍스처를 통해 열정과 생명의 에너지를 표현한다. 붉고 보랏빛이 어우러진 중심부의 나비 형상은 끊임없이 타오르는 열정과 변화, 그리고 삶의 역동성을 상징하며, 이를 둘러싼 황금빛 배경은 뜨거운 에너지와 빛을 발산하는 순간을 담고 있다. 
커피로 표현된 독특한 질감은 열정의 흔적과 삶의 흔들림을 생생히 보여주며, 자신의 내면 깊숙이 자리한 열정과 희망을 다시 떠올리게 한다.

This piece captures the energy of life and passion through vivid colors and intense textures.
At its core, a butterfly rendered in red and violet hues symbolizes unending passion, transformation, and vitality, while the surrounding golden glow radiates heat and brilliance in a moment of ignition.
The unique texture created with coffee reflects the tremors of life and traces of fervor, encouraging viewers to reconnect with the deep-seated passion and hope within themselves.
빛나는-봄의-숨결.jpg
빛나는 봄의 숨결 /Luminous Breath of Spring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2.03. / 91x117 cm

프리지아 꽃을 통해 봄의 따뜻한 생명력과 희망을 표현하고 있다. 어두운 배경 속에서도 빛나는 노란 프리지아는 어둠을 뚫고 피어나는 생명력을 상징하며, 줄기와 봉오리는 새로운 시작과 성장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꽃잎과 줄기의 디테일한 질감을 아크릴과 커피를 사용해 자연스럽고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Through the vibrant yellow freesia, this piece expresses the warm vitality and hope of spring.Shining brightly against a dark background, the flower symbolizes life emerging from darkness, while its stem and buds suggest new beginnings and the potential for growth.With delicate textures created using acrylic and coffee, the artwork brings the flower to life in a natural and vivid way, offering viewers a gentle message of comfort and hope.

202205_ASC_spring_hope_455x530.jpg
봄에 피는 희망 /Blossoming Dream Spring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03. / 45x53 cm

나비를 불꽃처럼 형상화하여 봄의 시작과 함께 피어나는 희망과 열정을 표현하고 있다. 노란 배경은 따뜻한 봄의 기운과 생명력을 상징하며, 푸른 불꽃처럼 보이는 나비는 변화와 성장을 의미하고 있다. 아크릴과 커피로 표현된 독특한 질감은 불꽃의 생동감을 더하며, 나비의 날개가 타오르는 듯한 모습은 새로운 도약과 희망의 시작을 암시하고 있다. 이 작품은 봄이라는 계절이 주는 에너지와 삶의 변화 속에서 발견되는 희망의 불꽃을 담아내고 있다.

Shaping the butterfly like a flame, this piece captures the hope and passion that bloom with the arrival of spring.
The warm yellow background symbolizes vitality and warmth, while the bluish flame-like butterfly embodies transformation and growth.
Rendered with unique textures using acrylic and coffee, the flickering wings evoke the energy of fire, hinting at a bold leap and the beginning of new hope.
The artwork encapsulates the season’s life-giving force and the sparks of hope found amid the changes of life.
새벽의여정_dawn_journey_10ho.jpg
새벽의 숲속여정 /The Dawn's Whispered Journey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2.11. / 45x53 cm

새벽의 고요한 숲을 형상화하여 자연 속에서 느껴지는 신비로움과 평온함을 표현하고 있다. 어두운 배경 속에 펼쳐진 푸른빛과 녹색은 숲의 생명력과 새벽의 신선한 공기를 상징하며, 질감 있는 표현은 숲의 깊이와 울창함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나무를 연상시키는 세로로 흐르는 형태들은 새벽의 차분한 여정과 자연 속에서 발견되는 내면의 고요함을 암시하고 있다. 이 작품은 숲의 정적 속에서 흐르는 생명과 자연이 주는 위안을 담아내고 있다.

This piece visualizes the tranquil forest at dawn, capturing the mystery and calm found within nature.The interplay of blue and green against a dark backdrop symbolizes the vitality of the woods and the freshness of early morning air.Vertical flowing forms reminiscent of trees suggest a quiet journey at daybreak and evoke the inner stillness discovered in nature.The artwork expresses the subtle pulse of life within stillness and the quiet comfort nature offers to the soul.

2021_0726_a001_w800.jpg
구름과 은하수의 속삭임 
/Whispers of Clouds and Milkyway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1.07. / 60x73 cm

푸른 하늘 뒤에 숨겨진 은하수를 하나의 캔버스에 담아내어 하늘과 우주의 경계를 표현하고 있다. 부드러운 푸른색과 흰색이 조화를 이루는 구름은 평온한 하늘의 모습을 그려내며, 중심을 가로지르는 어두운 흔적은 우주 속 은하수를 상징하고 있다. 섬세한 텍스처와 색감은 은하수가 가진 신비로움과 우주의 광활함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이 작품은 하늘과 우주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우리가 일상에서 놓치기 쉬운 경이로운 우주의 속삭임을 느끼게 한다.

This piece captures the Milky Way hidden beyond the blue sky, delicately portraying the boundary between sky and cosmos on a single canvas.
The soft harmony of blue and white clouds evokes the serenity of the sky, while a dark streak across the center hints at the presence of the galaxy.
With fine textures and deep tones rendered in acrylic and coffee, the work amplifies the mystery of the Milky Way and the vastness of the universe.
It conveys the idea that the sky and the cosmos are deeply connected, reminding us of the wondrous whispers of the universe often overlooked in everyday life.
2021_1206_a001_w800.jpg
디아블로 /Diablo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1.12. / 60x73 cm

디아블로 게임의 어둡고 신비로운 세계관과 상징적인 아이템들을 캔버스 위에 재해석한 작품이다. 붉은색과 검은색의 강렬한 대비는 게임 속 지옥과 악마적인 분위기를 그대로 담아내고 있으며, 황금빛의 텍스처는 희귀한 아이템들과 빛나는 보물을 상징하고 있다. 화면을 가로지르는 세로의 흐름은 게임 속 깊은 던전과 그 안에서 펼쳐지는 끊임없는 전투를 암시한다. 이 작품은 디아블로 세계가 가진 어둠 속에서도 발견되는 매혹적인 아름다움과 서사적인 요소들을 시각적으로 풀어내며, 관람자에게 강렬하고 몰입감 있는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

This painting reimagines the dark, mysterious universe of the game Diablo, drawing on its symbolic items and immersive lore.The stark contrast of red and black captures the demonic intensity of hellish landscapes, while golden textures evoke rare treasures and radiant relics.Vertical flows cutting through the canvas represent deep, unending dungeons and the endless battles waged within them.The work visualizes the haunting beauty and epic storytelling of the Diablo realm, offering viewers a striking and immersive experience into a world where darkness gleams with allure.

2021_0406_a001_w900.jpg
흐르는 비 넘어의 반짝임 ,둘 
/Shimmers Beyond the Rain ,2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1.04. / 60x73 cm

비가 내린 뒤 남겨진 자연의 반짝임과 생동감을 담고 있다. 짙은 푸른색과 노란색의 조화는 비 내리는 하늘과 그 너머로 드러나는 빛의 아름다움을 상징하며, 흐릿하게 섞인 질감은 빗줄기가 만들어내는 움직임과 잔잔한 흔적을 표현하고 있다. 세로로 흐르는 패턴은 비의 흐름을 나타내면서도, 그 사이에서 빛나는 희망과 기쁨의 순간을 암시한다. 이 작품은 비 뒤에 찾아오는 고요함과 반짝이는 순간을 통해 일상 속에서 발견되는 자연의 신비와 회복력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This piece captures the sparkle and vitality of nature left behind after the rain.
The harmony of deep blues and yellows symbolizes the rain-soaked sky and the beauty of light emerging beyond it, while the blurred textures evoke the movement and traces of falling rain.
Vertical patterns reflect the flow of rain and hint at fleeting moments of hope and joy glimmering in between.
Through the quiet and luminous stillness that follows the storm, the work visually reveals nature’s quiet magic and resilient spirit found within everyday life.
오후의숲속여정_w800.jpg
오후의 숲속여정 /Afternoon Forest Journey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06. / 73x60 cm

한낮의 숲속을 거니는 여정을 담아내며, 자연의 생동감과 고요한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있다. 강렬한 녹색과 어두운 색조의 대비는 숲의 빛과 그림자가 어우러진 모습을 상징하며, 깊고 풍부한 질감은 숲의 밀도와 생명력을 느끼게 한다. 그림 속 흐르는 듯한 패턴은 나뭇가지와 잎사귀 사이로 스며드는 햇빛의 움직임을 나타내며, 숲속을 탐험하는 신비롭고 차분한 감정을 전달하고 있다. 이 작품은 자연의 풍요로움과 치유의 에너지를 느낄 수 있는 한낮 숲의 특별한 순간을 담고 있다.

This work captures a walk through the forest at midday, expressing the vitality and serene beauty of nature.
The contrast between vivid greens and deep shadows symbolizes the interplay of light and shade among the trees, while the rich textures evoke the forest’s density and living energy.
Flowing patterns suggest sunlight filtering through branches and leaves, conveying a sense of quiet wonder and contemplative exploration.
The piece invites viewers to experience a rare moment of abundance and healing drawn from the heart of nature.
2021_0609_a001_w800.jpg
밤의 속삭임: 별과 나비 /Night Whispers: Stars and Butterfly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1.06. 

밤하늘과 별, 그리고 나비를 통해 우주의 신비로움과 자유로움을 담아내고 있다. 짙고 깊은 푸른색 배경은 고요한 밤의 공간을 표현하며, 그 속에 퍼지는 은은한 별빛은 희망과 꿈을 상징하고 있다. 
나비의 형상은 밤하늘 속에서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존재로, 변화와 성장, 그리고 무한한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다. 아크릴과 커피로 표현된 섬세한 질감은 별빛의 반짝임과 나비의 날갯짓을 더욱 생동감 있게 느끼게 한다. 

This artwork expresses the mystery and freedom of the universe through the night sky, stars, and a butterfly.The deep blue background represents the stillness of night, while the soft starlight scattered within symbolizes hope and dreams.The butterfly, soaring freely through the cosmos, embodies transformation, growth, and limitless potential—becoming a symbol of life’s boundless freedom.Delicate textures rendered with acrylic and coffee enhance the sparkle of starlight and the flutter of wings, offering viewers an enchanting moment where dreams and the universe gently converge.

2020_0615_a001_w800.jpg
빛의 고독: 비오는 길 , 여섯
/Solitude of Light: Rainy Road 6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06. / 117x91 cm

비 오는 거리의 고인 물에 비친 네온사인의 반짝임을 밤의 어둠 속에서 반대로 해석하여 표현한 작품이다. 흰색 배경은 어두운 밤의 무대를 반전시켜 고요함과 비움의 감각을 전달하며, 검은색과 갈색의 불규칙한 텍스처는 비 오는 거리의 물결과 빛의 잔영을 담고 있다. 점과 선으로 이루어진 흐릿한 형태들은 네온사인의 흐려진 반영을 상징하며, 비 오는 밤의 고독한 분위기를 시각적으로 나타낸다. 이 작품은 어두운 도시 속에서 발견되는 빛의 외로움과 그로 인해 느껴지는 묘한 감정을 탐구하며, 관람자에게 고요한 사색의 순간을 선사한다.

2020_0619_a001_w800.jpg
빛의 고독: 비오는 길 , 다섯
/Solitude of Light: Rainy Road 5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06. / 117x91 cm

비 오는 거리의 고인 물에 비친 네온사인의 반짝임을 밤의 어둠 속에서 반대로 해석하여 표현한 작품이다. 흰색 배경은 어두운 밤의 무대를 반전시켜 고요함과 비움의 감각을 전달하며, 검은색과 갈색의 불규칙한 텍스처는 비 오는 거리의 물결과 빛의 잔영을 담고 있다. 점과 선으로 이루어진 흐릿한 형태들은 네온사인의 흐려진 반영을 상징하며, 비 오는 밤의 고독한 분위기를 시각적으로 나타낸다. 이 작품은 어두운 도시 속에서 발견되는 빛의 외로움과 그로 인해 느껴지는 묘한 감정을 탐구하며, 관람자에게 고요한 사색의 순간을 선사한다.
2020_1112_a001_w800.jpg
흐린하늘이 보이는 창 /Whispers of the Overcast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06. / 60x73 cm

흐린 날 창문을 통해 바라본 하늘의 잔잔한 풍경을 담아내고 있다. 부드러운 파스텔 톤의 청록색과 회색은 흐린 하늘의 차분함과 고요함을 표현하며, 화면에 그어진 선과 텍스처는 창틀과 그 너머로 보이는 세상을 상징하고 있다. 질감 있는 표면은 날씨와 시간의 흔적을 담아내며, 관람자에게 흐린 날씨 속에서도 평온함과 명상의 순간을 떠올리게 한다. 이 작품은 흐릿한 하늘이 주는 안정감과 그 속에서 발견되는 미묘한 아름다움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하늘솜사탕_w800.jpg
하늘 솜사탕 /Cotton Candy in the sky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03. / 73x60 cm

하늘에 떠 있는 부드러운 솜사탕 구름을 연상시키며, 따뜻하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표현하고 있다. 핑크빛과 부드러운 갈색 톤이 조화를 이루며, 유려한 곡선과 질감은 구름의 부드러움과 하늘의 여유로운 흐름을 담아내고 있다. 중심에서 퍼져 나가는 듯한 움직임은 하늘의 끝없는 확장과 평온함을 상징하며, 감상자에게 따뜻한 감성과 편안함을 선사한다. 이 작품은 하늘을 통해 느껴지는 자유로움과 꿈 같은 순간들을 시각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2020_0621_a001_w800.jpg
노을비친호수 ,둘 /Twilight Serenade ,2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06. / 60x73 cm

노을빛이 물 위에 부드럽게 반사되는 순간을 담고 있다. 연한 노란색과 회색이 어우러져 따스하면서도 잔잔한 느낌을 주며, 화면에 흐르는 듯한 텍스처는 잔잔한 호수 표면에 비친 빛의 움직임을 표현하고 있다. 커피와 아크릴로 만들어진 섬세한 질감은 자연스럽고 유기적인 흐름을 강조하며, 노을의 따뜻함과 호수의 고요함을 동시에 전달하고 있다. 이 작품은 하루의 끝자락에서 느껴지는 평온함과 자연의 조화를 시각적으로 풀어내고 있다.

2020_0623_a001_w800.jpg
노을비친호수 ,하나 /Twilight Serenade ,1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06. / 60x73 cm

노을빛이 물 위에 부드럽게 반사되는 순간을 담고 있다. 연한 노란색과 회색이 어우러져 따스하면서도 잔잔한 느낌을 주며, 화면에 흐르는 듯한 텍스처는 잔잔한 호수 표면에 비친 빛의 움직임을 표현하고 있다. 커피와 아크릴로 만들어진 섬세한 질감은 자연스럽고 유기적인 흐름을 강조하며, 노을의 따뜻함과 호수의 고요함을 동시에 전달하고 있다. 이 작품은 하루의 끝자락에서 느껴지는 평온함과 자연의 조화를 시각적으로 풀어내고 있다.
2020_1209_a001_w800.jpg
자정의 달 /The Midnight Moon's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12. / 60x73 cm

공간을 채우거나 사물을 표현할 때 시간과의 관계에 자유로울 수 없다.
공간이나 사물에서 시간의 흐름은 인간의 감각을 변화시켜 자연스런 감정변화를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시간이 없었다면 인간의 감정은 변화를 가지지 않는다.
공간과 시간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는 자극이라는 단어로 인간의 감각에 영향을 주고, 그 감각의 마력에 중독되어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갈망하고, 때로는 고통과 혐오감을 유발하는 역작용까지 만들어 낸다.
예술은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강요하는 작업이다.
지금 이 순간부터 여러분은 입과 코를 통해 느끼던 커피의 향기를 눈으로 즐길 수있는 공간에 존재하고 있다.
2020_1221_a001_w800.jpg
정오의 달 /The Noon Moon's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12. / 60x73 cm

공간을 채우거나 사물을 표현할 때 시간과의 관계에 자유로울 수 없다.
공간이나 사물에서 시간의 흐름은 인간의 감각을 변화시켜 자연스런 감정변화를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시간이 없었다면 인간의 감정은 변화를 가지지 않는다.
공간과 시간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는 자극이라는 단어로 인간의 감각에 영향을 주고, 그 감각의 마력에 중독되어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갈망하고, 때로는 고통과 혐오감을 유발하는 역작용까지 만들어 낸다.
예술은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강요하는 작업이다.
지금 이 순간부터 여러분은 입과 코를 통해 느끼던 커피의 향기를 눈으로 즐길 수있는 공간에 존재하고 있다.
2020_1109_a001_w800.jpg
흐르는 비 넘어의 반짝임 ,하나 
/Shimmers Beyond the Rain ,1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11. / 65x80 cm

공간을 채우거나 사물을 표현할 때 시간과의 관계에 자유로울 수 없다.
공간이나 사물에서 시간의 흐름은 인간의 감각을 변화시켜 자연스런 감정변화를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시간이 없었다면 인간의 감정은 변화를 가지지 않는다.
공간과 시간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는 자극이라는 단어로 인간의 감각에 영향을 주고, 그 감각의 마력에 중독되어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갈망하고, 때로는 고통과 혐오감을 유발하는 역작용까지 만들어 낸다.
예술은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강요하는 작업이다.
지금 이 순간부터 여러분은 입과 코를 통해 느끼던 커피의 향기를 눈으로 즐길 수있는 공간에 존재하고 있다.
2020_0727_a001_w800.jpg
여름.대나무.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07. / 60x73 cm

공간을 채우거나 사물을 표현할 때 시간과의 관계에 자유로울 수 없다.
공간이나 사물에서 시간의 흐름은 인간의 감각을 변화시켜 자연스런 감정변화를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시간이 없었다면 인간의 감정은 변화를 가지지 않는다.
공간과 시간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는 자극이라는 단어로 인간의 감각에 영향을 주고, 그 감각의 마력에 중독되어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갈망하고, 때로는 고통과 혐오감을 유발하는 역작용까지 만들어 낸다.
예술은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강요하는 작업이다.
지금 이 순간부터 여러분은 입과 코를 통해 느끼던 커피의 향기를 눈으로 즐길 수있는 공간에 존재하고 있다.
2020_0715_a001_w900.jpg
물.돌.파동.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07. / 73x60 cm

공간을 채우거나 사물을 표현할 때 시간과의 관계에 자유로울 수 없다.
공간이나 사물에서 시간의 흐름은 인간의 감각을 변화시켜 자연스런 감정변화를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시간이 없었다면 인간의 감정은 변화를 가지지 않는다.
공간과 시간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는 자극이라는 단어로 인간의 감각에 영향을 주고, 그 감각의 마력에 중독되어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갈망하고, 때로는 고통과 혐오감을 유발하는 역작용까지 만들어 낸다.
예술은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강요하는 작업이다.
지금 이 순간부터 여러분은 입과 코를 통해 느끼던 커피의 향기를 눈으로 즐길 수있는 공간에 존재하고 있다.
2020_0725_a001_w800.jpg
천상의 시선: 파도의 춤
/The Ethereal View: Dance of Waves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07. / 60x73 cm

공간을 채우거나 사물을 표현할 때 시간과의 관계에 자유로울 수 없다.
공간이나 사물에서 시간의 흐름은 인간의 감각을 변화시켜 자연스런 감정변화를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시간이 없었다면 인간의 감정은 변화를 가지지 않는다.
공간과 시간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는 자극이라는 단어로 인간의 감각에 영향을 주고, 그 감각의 마력에 중독되어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갈망하고, 때로는 고통과 혐오감을 유발하는 역작용까지 만들어 낸다.
예술은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강요하는 작업이다.
지금 이 순간부터 여러분은 입과 코를 통해 느끼던 커피의 향기를 눈으로 즐길 수있는 공간에 존재하고 있다.
2020_0905_a001_w800.jpg
진홍의 거울 /Crimson Mirror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09. / 60x73 cm

공간을 채우거나 사물을 표현할 때 시간과의 관계에 자유로울 수 없다.
공간이나 사물에서 시간의 흐름은 인간의 감각을 변화시켜 자연스런 감정변화를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시간이 없었다면 인간의 감정은 변화를 가지지 않는다.
공간과 시간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는 자극이라는 단어로 인간의 감각에 영향을 주고, 그 감각의 마력에 중독되어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갈망하고, 때로는 고통과 혐오감을 유발하는 역작용까지 만들어 낸다.
예술은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강요하는 작업이다.
지금 이 순간부터 여러분은 입과 코를 통해 느끼던 커피의 향기를 눈으로 즐길 수있는 공간에 존재하고 있다.
2020_1120_a001_w900.jpg
가을.은행.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11. / 60x73 cm

공간을 채우거나 사물을 표현할 때 시간과의 관계에 자유로울 수 없다.
공간이나 사물에서 시간의 흐름은 인간의 감각을 변화시켜 자연스런 감정변화를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시간이 없었다면 인간의 감정은 변화를 가지지 않는다.
공간과 시간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는 자극이라는 단어로 인간의 감각에 영향을 주고, 그 감각의 마력에 중독되어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갈망하고, 때로는 고통과 혐오감을 유발하는 역작용까지 만들어 낸다.
예술은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강요하는 작업이다.
지금 이 순간부터 여러분은 입과 코를 통해 느끼던 커피의 향기를 눈으로 즐길 수있는 공간에 존재하고 있다.
2020_0615_a001_w800.jpg
빛의 고독: 비오는 길 , 넷
/Solitude of Light: Rainy Road 2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06. / 80x65 cm

공간을 채우거나 사물을 표현할 때 시간과의 관계에 자유로울 수 없다.
공간이나 사물에서 시간의 흐름은 인간의 감각을 변화시켜 자연스런 감정변화를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시간이 없었다면 인간의 감정은 변화를 가지지 않는다.
공간과 시간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는 자극이라는 단어로 인간의 감각에 영향을 주고, 그 감각의 마력에 중독되어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갈망하고, 때로는 고통과 혐오감을 유발하는 역작용까지 만들어 낸다.
예술은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강요하는 작업이다.
지금 이 순간부터 여러분은 입과 코를 통해 느끼던 커피의 향기를 눈으로 즐길 수있는 공간에 존재하고 있다.
2020_0619_a001_w800.jpg
빛의 고독: 비오는 길 , 셋
/Solitude of Light: Rainy Road 3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06. / 80x65 cm

공간을 채우거나 사물을 표현할 때 시간과의 관계에 자유로울 수 없다.
공간이나 사물에서 시간의 흐름은 인간의 감각을 변화시켜 자연스런 감정변화를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시간이 없었다면 인간의 감정은 변화를 가지지 않는다.
공간과 시간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는 자극이라는 단어로 인간의 감각에 영향을 주고, 그 감각의 마력에 중독되어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갈망하고, 때로는 고통과 혐오감을 유발하는 역작용까지 만들어 낸다.
예술은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강요하는 작업이다.
지금 이 순간부터 여러분은 입과 코를 통해 느끼던 커피의 향기를 눈으로 즐길 수있는 공간에 존재하고 있다.
2020_0513_a001_w800.jpg
빛의 고독: 비오는 길 , 둘
/Solitude of Light: Rainy Road 2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05. / 65x80 cm

공간을 채우거나 사물을 표현할 때 시간과의 관계에 자유로울 수 없다.
공간이나 사물에서 시간의 흐름은 인간의 감각을 변화시켜 자연스런 감정변화를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시간이 없었다면 인간의 감정은 변화를 가지지 않는다.
공간과 시간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는 자극이라는 단어로 인간의 감각에 영향을 주고, 그 감각의 마력에 중독되어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갈망하고, 때로는 고통과 혐오감을 유발하는 역작용까지 만들어 낸다.
예술은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강요하는 작업이다.
지금 이 순간부터 여러분은 입과 코를 통해 느끼던 커피의 향기를 눈으로 즐길 수있는 공간에 존재하고 있다.
2020_0511_a001_w800.jpg
빛의 고독: 비오는 길 , 하나 
/Solitude of Light: Rainy Road 1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05. / 65x80 cm

공간을 채우거나 사물을 표현할 때 시간과의 관계에 자유로울 수 없다.
공간이나 사물에서 시간의 흐름은 인간의 감각을 변화시켜 자연스런 감정변화를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시간이 없었다면 인간의 감정은 변화를 가지지 않는다.
공간과 시간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는 자극이라는 단어로 인간의 감각에 영향을 주고, 그 감각의 마력에 중독되어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갈망하고, 때로는 고통과 혐오감을 유발하는 역작용까지 만들어 낸다.
예술은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강요하는 작업이다.
지금 이 순간부터 여러분은 입과 코를 통해 느끼던 커피의 향기를 눈으로 즐길 수있는 공간에 존재하고 있다.
2020_0708_a001_w800(1).jpg
빛의 고독: 노을바람 
/Solitude of Light: Sunset Wind
acrylic & coffee on canvas, 2020.07. / 60x73 cm

공간을 채우거나 사물을 표현할 때 시간과의 관계에 자유로울 수 없다.
공간이나 사물에서 시간의 흐름은 인간의 감각을 변화시켜 자연스런 감정변화를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시간이 없었다면 인간의 감정은 변화를 가지지 않는다.
공간과 시간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는 자극이라는 단어로 인간의 감각에 영향을 주고, 그 감각의 마력에 중독되어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갈망하고, 때로는 고통과 혐오감을 유발하는 역작용까지 만들어 낸다.
예술은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강요하는 작업이다.
지금 이 순간부터 여러분은 입과 코를 통해 느끼던 커피의 향기를 눈으로 즐길 수있는 공간에 존재하고 있다.
2019_1017_a001_w800.jpg
穿孔の島
acrylic & coffee on canvas, 2018.11.

크리에이티브한 새로운 표현법으로 천공의 섬 라퓨타를 모티브로 아크릴물감과 커피원두를 사용해 몽환적으로 재현했다. 섬의 아래와 위의 대비는 극적인 이미지를 선사하며, 아크릴물감과 커피원두의 조화로운 마띠에르는 미술표현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한 시작점인 작품이다. 
이 작품은 질감과 톤의 조화로 천공의 섬이 가지고 있는 신비함을 탁월하게 그려내, 누구든지 그 속에 빠져들게 되며. 고요함 속에 숨어 있는 강렬한 생명력이 독특하게 묘사된 작품이다.
2020_0315_a001_w800.jpg
群島, 一
acrylic & coffee on canvas, 2019.02.

바다 위에 위치한 섬을 하늘에서 내려다보는 시야로, 관찰자에게 독특하고 매혹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작품 전체는 모노톤 컬러 스키마로 그려져 있어 차분하고 조용한 느낌을 주면서도, 섬과 바다의 형태와 질감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마치 구름 위에서 내려보는 듯한 느낌을 받으면서 섬과 바다의 넓은 범위를 한눈에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시야는 우리에게 평온함과 탐험욕을 동시에 불러일으키는 독특한 경험을 선사한다.
2020_0319_a001_w800.jpg
群島, 二
acrylic & coffee on canvas, 2019.03.

바다 위에 위치한 섬을 하늘에서 내려다보는 시야로, 관찰자에게 독특하고 매혹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작품 전체는 모노톤 컬러 스키마로 그려져 있어 차분하고 조용한 느낌을 주면서도, 섬과 바다의 형태와 질감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마치 구름 위에서 내려보는 듯한 느낌을 받으면서 섬과 바다의 넓은 범위를 한눈에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시야는 우리에게 평온함과 탐험욕을 동시에 불러일으키는 독특한 경험을 선사한다.
2020_0317_a001_w800.jpg
群島, 三
acrylic & coffee on canvas, 2019.03.

바다 위에 위치한 섬을 하늘에서 내려다보는 시야로, 관찰자에게 독특하고 매혹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작품 전체는 모노톤 컬러 스키마로 그려져 있어 차분하고 조용한 느낌을 주면서도, 섬과 바다의 형태와 질감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마치 구름 위에서 내려보는 듯한 느낌을 받으면서 섬과 바다의 넓은 범위를 한눈에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시야는 우리에게 평온함과 탐험욕을 동시에 불러일으키는 독특한 경험을 선사한다.
2019_0809_a001_w800.jpg
颱波濤, 一
acrylic & coffee on canvas, 2018.08.

파도와 바람을 과감하고 화려한 터치로 표현, 바다의 힘과 에너지를 생동감있게 전달해준다. 
바람이 소용돌이치며 파도가 세차게 일어나는 모습은 거침없이 표현되어 있고, 이는 작가의 표현력과 예술적인 감각을 엿볼 수 있다.
2019_0807_a001_w800.jpg
颱波濤, 二
acrylic & coffee on canvas, 2018.07.

파도와 바람을 과감하고 화려한 터치로 표현, 바다의 힘과 에너지를 생동감있게 전달해준다. 
바람이 소용돌이치며 파도가 세차게 일어나는 모습은 거침없이 표현되어 있고, 이는 작가의 표현력과 예술적인 감각을 엿볼 수 있다.
2019_0725_a001_w800.jpg
金剛
acrylic & coffee on canvas, 2018.05.

금강산도를 모티브로 아크릴물감과 커피원두를 사용해 재해석했다. 커피가루의 마띠에르가 능선을 표현하고 구름을 품고 있는 듯한 계곡은 부드러움을 담고 있다. 금강산의 웅장함을 품고 있는 이 그림은 참으로 감동적이다.
201308a.png
The colors, make up your Thoughts
acrylic on canvas, 2013.08.

생각을 구성하는 색,  강렬한 색상을 사용하여  추상적인 형태와 자유로운 터치로 생각의 생동감과 에너지를 표현함. 
201308c.png
The colors, make up your Thoughts
acrylic on canvas,  2013.05.

생각을 구성하는 색,  강렬한 색상을 사용하여  추상적인 형태와 자유로운 터치로 생각의 생동감과 에너지를 표현함. 
201308d.png
The colors, make up your Thoughts
acrylic on canvas, 2013.05.

생각을 구성하는 색,  강렬한 색상을 사용하여  추상적인 형태와 자유로운 터치로 생각의 생동감과 에너지를 표현함. 
201308b.png
The colors, make up your Thoughts
acrylic on canvas, 2013.08.

생각을 구성하는 색,  강렬한 색상을 사용하여  추상적인 형태와 자유로운 터치로 생각의 생동감과 에너지를 표현함. 
201308e.png
The colors, make up your Thoughts
acrylic on canvas, 2013.04.

생각을 구성하는 색,  강렬한 색상을 사용하여  추상적인 형태와 자유로운 터치로 생각의 생동감과 에너지를 표현함. 
201308f.png
The colors, make up your Thoughts
acrylic on canvas, 2013.02.

생각을 구성하는 색,  강렬한 색상을 사용하여  추상적인 형태와 자유로운 터치로 생각의 생동감과 에너지를 표현함. 


Layjeong_나비_800x800(0001).png
문의 및 연락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 약관 보기

보내기
Layjeong_나비_800x800(0001).png
문의 및 연락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 약관 보기

SEND !